농장소개 자료실 사진방 상품 Q/A 커뮤니티 해동목이야기 홈으로 마이페이지 장바구니 주문조회 배송센터 이용안내 인사말 농장개요 농장찾아오는길 엄나무농장 자유갤러리 공지사항 고객사랑방 고객후기 영농일기 해동목이야기 해동목마라톤
홈으로
   
    
    
자동로그인

택배추적
네이버 블로그
찾아오시는길
이용안내


 
작성일 : 23-06-22 22:21
외향성 높으면 행복 더 크다.gisa
 글쓴이 : 이영준
조회 : 19  
서은국 교수 "행복의 핵심, 좋은 사람들과 식사…외향성 높으면 행복 더 커"


서 교수는 “인간이 원시시대부터 사냥, 농사, 채집을 했던 이유는 먹는 쾌감을 충족시켜서 생존하기 위해서였다”며 “먹는 쾌감을 느끼지 못해서 식량을 다른 사람에게 나눠준 사람은 생존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한 “인간은 혼자서는 미약한 존재지만 다른 사람과 힘을 합치면 사자, 맘모스를 사냥할 수 있었기 때문에 지구의 최강자가 됐다”며 “살고 있던 집단에서 쫓겨날 경우 죽음을 맞이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인간 뿐 아니라 박쥐와 같은 동물들도 주변과 도움을 주고받는 것이 생존에 유리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박쥐는 새끼에게 줄 먹이를 사냥하지 못하면 옆집 박쥐에게서 식량을 빌렸다”며 “박쥐의 뇌는 식량을 빌린 경험을 컴퓨터처럼 기억해서 갚으며, 친구가 있는 박쥐와 없는 박쥐는 평균수명이 2년 가까이 차이가 난다”고 말했다.

즉 ‘외향성’은 행복을 예측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게 서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인간, 오랑우탄 등 유인원과에 속한 생명체들은 ‘외향적’인 모습을 할 때 ‘행복’이라는 전구가 켜진다”며 “실제로 외향적인 사람들의 ‘가장 낮은 행복도’는 내향적인 사람들의 ‘가장 높은 행복도’와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말했다.

반대로 사회적으로 고립되면 행복과 생존에 부정적 영향을 받으며, 심하게는 사망위험에도 노출된다고 서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인간이 가장 무서워하고 싫어하는 상황은 ‘고독과 외로움’”이라며 “혼자 사는 사람은 암에서 회복될 확률이 낮고, 자살할 확률도 높다”고 말했다.

“아무리 세상을 다 가진 부자여도 63빌딩에서 혼자 라면을 먹는다면 행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현재 여러분의 일상에서 좋은 사람들과 만나는 경험을 얼마나 자주 하면서 사는가를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문 http://m.edaily.co.kr/news/read?newsId=03207846632496856&mediaCodeNo=257

 
   
 

이용약관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이메일 주소 무단수집거부      |      고객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