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장소개 자료실 사진방 상품 Q/A 커뮤니티 해동목이야기 홈으로 마이페이지 장바구니 주문조회 배송센터 이용안내 인사말 농장개요 농장찾아오는길 엄나무농장 자유갤러리 공지사항 고객사랑방 고객후기 영농일기 해동목이야기 해동목마라톤
홈으로
   
    
    
자동로그인

택배추적
네이버 블로그
찾아오시는길
이용안내


 
작성일 : 23-03-18 23:28
“안 만난다” 조건으로 차이코프스키를 14년간 후원해준 귀부인
 글쓴이 : 이영준
조회 : 54  

(전략)

남편이 세상을 떠나게 되자 부인은 모든 유산을 상속받아 큰 부를 얻었다. 1876년, 당시 차이콥스키의 음악에 경도되어 있던 그녀는 차이콥스키에게 후원을 약속한다.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주는 차이콥스키의 연봉은 3000루블 정도였다. 그런데 이 부인이 연금 형식으로 약정했던 후원금액은 그 두 배인 6000루블이었다.

차이콥스키는 더 이상 주변의 눈치를 볼 필요 없이 음악에만 전념할 수 있었고, 38세가 되던 해인 1878년부터는 아예 음악원 교수도 사임하고 여러 나라를 여행하며 음악적 영감과 자양분을 흡수, 창작에만 몰두할 수 있었다. 물론 여행에 필요한 모든 경비 또한 폰 메크 부인이 별도로 지급해줬다.

이 환상적인 후원에 폰 메크 부인은 단 하나의 조건을 달았다. ‘절대 서로 만나지 않을 것.’ 얼굴조차 모르는 후원인에게 이런 막대한 금액을 지원받는 것이 부담스러워 보일 수 있겠지만 차이콥스키는 달랐다. 차이콥스키는 동성애자였다.

그렇게 14년간 후원이 이어졌고 1890년 어느 날, 차이콥스키는 부인으로부터 한 통의 편지를 받게 된다. 편지엔 “재정 상태가 악화돼 더 이상 후원해 줄 수 없게 됐으니 우리의 관계도 여기서 끝을 맺자”는 일종의 절교선언이 담겼다. 사실 당시 부인의 재정 상태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차이콥스키가 동성애자인 것을 알고 실망해서 떠난 것이 아니었을까 추측만 할 뿐 그녀가 후원을 끊은 이유는 아직도 미스터리로 남겨져 있다.

차이콥스키는 이후에도 그녀에게 여러 통의 편지를 부쳤다. 더 이상의 경제적 후원은 필요 없으니 부디 답장만이라도 달라고 애원했으나 그녀는 그 어떤 답신도 하지 않았다. 14년간 1204통의 편지, 차이콥스키와 폰 메크는 단순히 예술가와 후원인이 아닌 그 이상의 각별한 사이였다. 예술과 작품에 관한 이야기뿐만 아니라 서로의 기분과 감정을 나눴고, 차이콥스키가 동성애자였다 하더라도 일신상의 모든 것을 나누며 교감하는 연인과도 같은 사이였다.

차이콥스키는 감정의 진폭이 큰, 여린 마음의 소유자였다. 아무 이유도 모른 채 연인처럼 또 엄마처럼 자신을 사랑하고 돌봐준 여인에게 버림받은 차이콥스키는 큰 실의에 빠졌고, 죽는 순간까지 자신의 후원인이었던 폰 메크를 원망하고 저주하며 살았다.

안우성 남자의 클래식 저자

http://v.daum.net/v/20230223090614647

14년이나 후원해줬으면 그것만으로도 감지덕지해야지 원망과 저주를 했다니..



 
   
 

이용약관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이메일 주소 무단수집거부      |      고객센터